작업치료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능동적이고 목적있는 활동(작업)을 제공하여 의미 있고 유용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불완전한 기능을 보다 나은 상태로 만들고 더 이상의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신체적 기능과 일상에서 필요한 기술을 보완, 훈련, 유지하는 치료입니다.
치료대상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심폐질환, 근골격계 질환, 노인성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치료평가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환자에 관한 기능적,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의 전반적인 신체기능, 인지, 지각, 감각 상태 및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준을 평가 합니다.
특수작업치료
평가에 근거하여 일상생활활동이 가능하도록 상체의 관절 움직임 범위를 향상시키고, 손가락의 소근육 발달로 민첩성과 관절가동범위 증가 등 운동 조절능력과 근력증진을 위한 훈련을 실시합니다.
인지 지각 치료
시간, 장소 사람에 관한 지남력, 시공간능력, 집중력 등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인지기능 훈련을 시행합니다.
연하곤란 치료
입술 주변과 혀, 턱, 호흡 등의 마비로 인해 삼키기 말하기 등이 불편해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안전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훈련을 시행합니다.
일상생활동작 (ADL)
일상생활 훈련은 가장 기본적인 식사하기, 옷 입고 벗기, 개인위생, 이동훈련 등이 있으며,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훈련계획을 수립, 시행함으로써 최대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